1.제 1정규형
: 하나의 레코드 속성에는 하나의 데이터만 넣는다.
1) 제 1정규형 위반 CASE
①하나의 컬럼에 여러 데이터가 들어가는 경우
Tip. 두 테이블의 관계가 M;N일 때 관계 테이블의 명칭 짓기가 애매할 때는 결합한 두 테이블의 명칭을 하나로 합친다. 예를들어 '고객'과 '취미'테이블이 M:N의 관계를 맺으면, 관계 테이블의 명칭은 '고객취미'가 된다.
②복합속성이 사용된 경우
③유사한 속성이 반복된 릴레이션
2.제 2정규형
- 헬스 프로그램이 6000원에서 7000원으로 바꾼다면, 위와 같은 테이블은 수정의 비효율이 발생한다.
- 현재 테이블(수강등록 현황)의 주제와 관련없는 컬럼(가격)을 다른 테이블로 빼는 작업
어려운 버전
- partial dependency를 제거한 테이블
- 빡통 버전: 현재 테이블의 핵심주제와 상관없는 컬럼을 다 제거한 테이블
*partial dependency: 하나의 Composite primary key에 종속.
3.제 3정규형
: 일반 컬럼(강사)에만 종속된 컬럼(잔챙이컬럼)은 다른 테이블로 빼기
출처:
코딩애플, 데이터 정규화가 뭔지 설명해보세요(개발면접타임)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Y1FbowQRcmI&t=19s
RDBMS Modeling 기초(인프런, 이교준)
'DB > DB 모델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B/DB모델링] 논리적 모델링과 물리적 모델링 개념개괄 (0) | 2023.03.25 |
---|---|
[DB/DB모델링] 정보시스템 구축과 DB 설계 (0) | 2023.03.25 |
[DB/DB모델링]Primary Key, Foreign Key (0) | 2023.03.25 |
[DB/DB모델링] 정규화 (0) | 2023.03.24 |